생산관리

생산지시등록

1. 개요 및 목적

- 생산작업시 작업사양과 작업시 주의 사항등을 구두가 아닌 전산상으로 일원화 된 관리를 위함이다.

- 재고에 대한 예약 작업으로 재고관리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다.

 

2. 선행작업

- 소재투입 재고와 제품부 제품 재고를 확인한다.

 

3. 화면보기  

<그림 : 생산지시등록 >

 

4. 공통사항

(1) 공통사항 화면보기

< 그림 : 생산지시등록 공통 >

(2) 공통사항 처리

1) 등록

- 화면 오른쪽 상단의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생산지시 공통을 등록한다.

- 보관구분을 입력한다. 보관구분은 "자사/임가공/보관품"으로 나뉘어 진다. 보관구분

  이 임가공인 경우 수요가는 필수입력사항이 된다.

- 사업장 선택한다. 공통부에 입력한 내역에 의해서 소재부에서 재고를 불러오므로

  재고내역을 확인 후 주의 하여 입력을 한다.

- 생산장소를 입력한다. 생산장소는 "자사/외주"로 나뉘어 지는데 외주일경우

  외주처 입력은 필수입력사항이 된다.

2) 수정

- 그리드에서 수정 할 지시번호를 클릭한다.

- 지시 공통 내역이 아래 TEXT 에 표기 되는데 내역을 확인 후 그리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공통수정"을 선택 클릭한다.

- 생산지시 공통사항에서는 "납기예정일" 이외에는 수정이 되지 않는다.

- 수정내역을 입력한 뒤 화면 오른쪽 아래의 “확인”을 눌러 공통사항 수정을

  완료한다.

3) 삭제

- 그리드에서 삭제 할 지시번호를 클릭한다.

- 지시 공통 내역이 아래 TEXT 에 표기 되는데 내역을 확인 후 그리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공통삭제"를 선택 클릭한다.

- 삭제할 내역을 확인 한 후 아래의 “확인”을 눌러 공통사항 삭제를 완료한다.

(3) 공통 특기사항

    - 수요가 입력 : 보관 구분 입력시 보관구분을  "임가공"을 선택 하면 수요가는 필수

      입력사항 이다. 수요가를 입력하지 않고 “확인” 버튼을 누를 경우 “보관구분이

      자사가 아니므로 수요가는 필수 입력입니다.” 메시지 박스가 뜬다.

    - 외주처 입력 : 생산장소 입력시 생산장소를 "외주"로 입력을 하면 외주처 입력은

      필수입력사항이 된다. 외주처를 입력하지 않고 “확인” 버튼을 누를 경우

    “생산장소가 외주이므로 외주처는 필수 입력입니다.” 메시지 박스가 뜬다.

    - 생산지시공통 삭제 : 생산지시 공통부를 삭제할 때 종결처리가 된 지시건은 삭제가

      되지 않는다.

    - 라벨인쇄 : < 그림 Ⅳ-1-4-① 생산지시등록 기타사항 : 라벨인쇄 > 버튼을 클릭하면

      < 그림 Ⅳ-1-5 생산지시등록 바코드출력 > 의 바코드 출력 화면이 나타난다.

      출력화면에서 화면 오른쪽 상단의 출력 버튼을 클릭하여 라벨지 인쇄를 한다.

 

< 그림 : 생산지시등록 바코드출력 >

 

- 생산지시서 인쇄 : < 그림 Ⅳ-1-4-② 생산지시등록 기타사항 : 생산지시서 인쇄 > 참조. 생산 지시서 버튼을 클릭하면 생산 지시서를 출력 할 수 있는 버튼이 나타나게 된다. 화면의 내역을 확인 한 후 출력 버튼을 클릭하여 생산 지시서를 출력하도록 한다.

a> 생산지시서 용지 선택 :

- A4 이미지 선택 : < 그림 Ⅳ-1-6-① > 을 선택을 하면 A4 용지에 배경화면이 이미지로 그려져 인쇄가 된다. 아래의 화면은 배경화면 인쇄로 출력을 할 경우이다.

- 연속용지 인쇄 : < 그림 Ⅳ-1-6-② > 를 선택하는 경우는 사용하는 연속 용지가 있을 경우다. 연속지에 출력 할 수 있도록 폼 형식이 변경이 된다.

b> 프린터 선택 : 프린터 선택 버튼으로 용지 및 프린터 선택을 한다. 

c> Review : 생산지지서 용지를 선택 한 후 “ReView” 버튼을 클릭하여 선택 사항을 적용시키도록 한다.

< 그림 : 생산지시등록 : 생산지시서 >

 

 

 

 

 

5. 세부사항

(1) 세부사항 화면보기

< 그림 : 생산지시등록 소재/제품연결 >

 

(2) 세부사항 처리

1) 세부사항 입력

① 공정차수 입력

- 생산형태와 공정 차수를 입력한다. 생산형태는 화면 하단의 COMBO 에서 선택 을 하고, 공정차수는 TEXT에 직접 입력을 한다.

② 소재부 입력

   - 소재부 입력은 상단 그리드에서 이루어 진다.

- 입력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첫째, 품목부터 차례로 소제부를 입력한다. 품목코드, 치수 외 다른 사항들을 그리드에 직접 입력한다. 둘째, 품목 입력 후 치수에서 HELP 받으면 재고 HELP 창이 뜬다. 화면에 표기된 재고 중 투입 소재를 선택 후 “전송”버튼을 눌러 소재부로 불러온 후 수량을 수정 하고 확인 후 재고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③ 제품부 입력

   - 제품부 입력은 하단 그리드에서 이루어 진다.

- 소재부 직접 입력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만들어 지는 제품의 품목, 치수 외 기타 사항을 차례로 그리드에 입력을 한다. 품목코드는 HELP 가 가능하다.

 

2) 순번추가

① 소재부 추가 : 소재부 입력 그리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소재부추가”를 선택하여 클릭하면 소재부에 그리드가 추가가 되면서 입력가능하게 바뀐다.

② 제품부 추가 : 제품부 입력 그리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제품부추가”를 선택하여 클릭하면 제품부에 그리드가 추가가 되면서 입력 가능하게 바뀐다.

3) 순번수정

- 공통입력 그리드에서 수정할 지시 번호를 더블클릭하여 세부사항 입력 화면으로 온다.

- 화면 아래의 공정차수 현황”을 클릭을 하면 소재부, 제품부 상세 내역이 그리드 상에 보여진다.

- 소재부, 제품부의 내역을 클릭 후 화면 상단의 “수정” 버튼을 누르고 내역을 수정하면 화면 아래의 공정 차수 현황은 사라진다.

 

4) 순번삭제

- 삭제 항목을 클릭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소재부삭제/제품부삭제”를 선택하여 클릭을 하면 항목별로 삭제가 가능하다.

 

(3) 세부 특기사항

- 연결편성 : 소재부와 제품부 사이에 연결편성 란에 check 하면 소재부와 제품부 연결하여 관리가 가능하다. 연결편성 하는 방법은 소재부와 제품부를 각각 입력한 후 소재부 입력 그리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소재연결’을 선택하여 소재부를 연결해주고, 제품부 연결시 제품부 입력 그리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제품연결’을 선택 하여 클릭을 해주면 된다.

연결시 주의 사항은 [ 소재부:제품부 = 1 : N = N : 1 ] 은 가능하나

[ 소재부:제품부 = N : N ]은 연결이 불가능 하므로 유의 하도록 한다. 소재부와 제품부 연결이 완료되면 [소재/제품연결] 탭에 소재부와 제품부의 연결된 내역이 표기가 되는데 내역을 확인 후 오른쪽의 ‘연결’ 버튼을 누른 후 화면 가운데 오른편의 ‘확인’버튼을 눌러 생산완료 지시를 완료 한다.

< 그림 : 생산지시등록 연결편성 N : N >

 

- T/D : 제품부 입력시 그리드 내에 T/D 항목이 있다. ‘T’는 소재 투입 전량을 입력하는 것이고 ‘D’는 제품부 입력 후 나머지 잔량을 입력하는 것이다. ‘D’입력시에는 최소한 한건 이상의 제품부가 등록이 된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다. 필수 입력사항은 아니므로 꼭 입력할 필요는 없다.

- 수율표기 : 소재부 제품부 입력 화면의 오른쪽 상단에 수율이 표기 된다. 수율 = (소재/제품) x 100 으로 계산이 된다. < 그림 Ⅳ-1-4-④ 생산지시등록 기타사항 : 수율표기>

< 그림 : 생산지시등록 기타사항 >

 

- LOSS 자동적용 : 생산형태 SLITTING 일 경우 화면 상단에 ‘LOSS 자동적용’ CHECK BUTTON 이 나타난다. CHECK 할 경우 LOSS 자동적용 되어 중량이 계산이 된다. LOSE 자동적용이 선택되어 있으면 제품에 생산되는 제품의 폭의 합계와 소재로 투입되는 폭의 차이량을 자동으로 LOSE로 계산하여 제품에서 LOSE로 된 중량만큼을 제외하고 배분된다. < 그림 Ⅳ-1-4-③ 생산지시등록 기타사항 : LOSS 자동적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