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및 목적
- 생산 지시를 내린 후 생산 완료를 내린다.
- 생산 지시 없이 도 완료가 가능하다.
2. 선행작업
- 소재투입 재고와 제품부 제품 제고를 확인한다.
3. 공통사항
(1) 공통사항 처리
1) 등록
- 화면 오른쪽 상단의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공통을 등록한다.
- 보관구분 : 보관구분을 입력한다. 보관구분은 "자사/임가공/보관품"으로 나뉘어 진다. 보관구분이 임가공인 경우 수요가는 필수입력사항이 된다.
- 사업장 : 사업장 선택한다. 공통부에 입력한 내역에 의해서 소재부에서 재고를 불러오므로 재고내역을 확인 후 주의 하여 입력을 한다.
- 하치장 : 하치장을 선택한다. 소재부 재고를 불러올 때 사업장/하치장을 조건으로 하여 재고를 읽어오기 때문에 정확한 재고 확인이 필요하다.
- 영업일/회계일 : 영업일을 입력하여 ENTER 치면 회계일도 같이 바뀐다. 입력시 회계일이 틀리다면 회계일을 수정하도록 한다.
< 그림 : 생산완료 공통 >
- 지시번호 : 생산지시 번호를 입력한다. 생산완료 작업시 생산지시 에서 작업한 내역을 그대로 완료를 잡을 경우 생산지시 번호를 HELP 하여 생산 완료 작업을 하도록 한다.
- 공정차수 : 공정차수를 입력한다. 입력방법은 TEXT BOX 에 직접 입력을 한다.
- 생산형태 : 생산형태를 COMBO 에서 선택한다. 생산 형태는 기초코드에서 등록이 된 내역을 가져오는 것이므로 생산형태 추가시에는 기초코드에서 입력을 한다.
- 생산설비 : 생산설비를 COMBO 에서 선택을 한다. 생산 설비도 생산형태와 마찬가지로 기초코드 입력 프로그램에서 등록된 내역을 읽어 오는 것이므로 생산설비 추가시에도 생산형태와 마찬가지로 기초코드 등록프로그램에서 생산설비를 추가 입력하도록 한다. 생산형태를 선택하면 생산설비에는 제일 첫 번째 생산형태의 설비를 가지고 온다.(예 생산형태-SL 이면 SL1을 가지고 옴) 생산형태에 따른 설비를 선택할 수 있다. 생산라인 별 현황 등에 이용된다.
- 생산장소 : 생산장소를 입력한다. 생산장소는 "자사/외주"로 나뉘어 지는데 외주일경우 외주처 입력은 필수입력사항이 된다. 자사생산의 경우는 자사의 설비로 생산을 처리함으로 외주가공비가 발생하지 않음으로 외주처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외주생산의 경우 외부 업체에 가공을 의뢰함으로 가공비 정산과 연관되어 처리된다.
- 수요가/외주처 입력한다.
- 생산시간 : 완료건에 대한 생산시간을 분으로 입력한다. TEXT BOX 에 직접 입력한다.
- 생산준비 : 완료건에 대한 생산준비 시간, 칼 조합의 시간 등을 분으로 입력한다. TEXT BOX 에 직접 입력한다.
2) 수정
- 그리드에서 수정 할 완료번호를 클릭한다.
- 완료 공통 내역이 아래 TEXT 에 표기 되는데 내역을 확인 후 그리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공통수정"을 선택 클릭한다.
- 생산완료 공통사항에서는 "회계일", ”생산장소”, “외주처”, “생산시간” 이외에는 수정이 되지 않는다. 이 외의 내역은 재고와 연관이 있는 내역이기 때문에 초기 입력 시 외에는 수정이 되지 않으므로 수정을 원할 경우에는 전표 전체를 삭제한후 다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유의 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 수정내역을 입력한 뒤 화면 오른쪽 아래의 “확인”을 눌러 공통사항 수정을 완료한다.
3) 삭제
- 그리드에서 삭제 할 완료번호를 클릭한다.
- 완료 공통 내역이 아래 TEXT 에 표기 되는데 내역을 확인 후 그리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공통삭제"를 선택 클릭한다.
- 삭제할 내역을 확인 한 후 아래의 “확인”을 눌러 공통사항 삭제를 완료한다.
(2) 공통 특기사항
- 수요가 입력 : 보관 구분 입력시 보관구분을 "임가공"을 선택 하면 수요가는 필수
입력사항 이다. 수요가를 입력하지 않고 “확인” 버튼을 누를 경우 “보관구분이
자사가 아니므로 수요가는 필수 입력입니다.” 메시지 박스가 뜬다.
- 외주처 입력 : 생산장소 입력시 생산장소를 "외주"로 입력을 하면 외주처 입력은 필수
입력사항이 된다. 외주처를 입력하지 않고 “확인” 버튼을 누를 경우 “생산장소가
외주이므로 외주처는 필수 입력입니다.” 메시지 박스가 뜬다.
- 생산지시 번호로 생산완료 작업: 생산지시 번호를 HELP 하여 생산완료 작업을 할 수 있다.
① 생산 공통 화면에서 생산지시 번호 입력하는 TEXT 에 커서를 둔다.
< 그림 : 생산완료 생산지시번호 HELP >
② 생산지시번호를 HELP 하는 방법은 생산지시 TEXT 에서 F2 를 누르면 생산지시 조회 화면으로 전환이 된다.
③ 전환이 된 화면에서 일정 기간을 정하고 화면 오른쪽 하단의 생산지시 HELP 받는 화면에 “보기” 버튼을 누르면 지정 기간 내에 내린 생산지시 번호 중 완료가 되지 않은 내역이 화면에 표기된다. (조회조건 : 기간, 생산장소, 하치장, 수요가, 설비, 생산형태, 외주처, 차수의 조회 조건으로 생산 지시 내역을 조회 할 수 있다.)
④ 화면에 보인 생산지시 리스트들 중 완료 작업을 할 생산지시 번호를 더블클릭으로 선택 한다.
⑤ 생산완료 공통화면으로 넘어온다.
⑥ 생산지시에서 내린 내역을 그대로 불러온다. (지시 공통,세부사항 모두 확인가능)
⑦ 공통화면에서 확인 버튼을 누르면 세부내역 화면으로 넘어간다.
⑧ 세부내역 역시 지시에서 내린 내역을 그대로 가져온다. 만약 소재부나 제품부 수정내역이 있다면 세부내역에서 수정을 한 후 다시 처리가 가능하다.
⑨ 제품부의 화면 오른쪽 가운데 “확인” 버튼을 눌러 생산완료를 완료하도록 한다.
⑩ 소재부 투입내역이 재고에서 빠졌는지 제품부의 내역이 재고에 추가가 되었는지 재고내역을 확인 한다.
⑪ 생산완료 완료.
- 포장개별완료 : 생산지시에서 포장수량과 포장 수를 입력한 경우 포장수량만큼 개별포장으로 완료처리를 한다. 상세화면으로 넘어가기전에 미리 선택하는 기능이다. 선택을 안하고 상세화면으로 넘어가도 상세화면에서 다시 선택 할 수 있다.
5. 세부사항
(1) 세부사항 처리
< 그림 : 생산지시 세부사항 처리 >
◆ SLITTING 이외의 경우
1) 세부사항 입력
① 소재부 입력
- 소재부 입력은 상단 그리드에서 이루어 진다.
- 입력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첫째, 품목부터 차례로 소제부를 입력한다. 품목코드 , 치수 외 다른 사항들을 그리드에 직접 입력한다. 둘째, 품목 입력 후 치수에서 HELP 받으면 재고 HELP 창이 뜬다. 화면에 표기된 재고 중 투입 소재를 선택 후 “전송”버튼을 눌러 소재부로 불러온 후 수량을 수정 하고 확인 후 재고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② 제품부 입력
- 제품부 입력은 하단 그리드에서 이루어 진다.
- 소재부 직접 입력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만들어 지는 제품의 품목, 치수 외 기타 사항을 차례로 그리드에 입력을 한다. 품목코드는 HELP 가 가능하다.
2) 세부 순번추가
① 소재부 추가 : 소재부 입력 그리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소재부추가”를 선택하여 클릭하면 소재부에 그리드가 추가가 되면서 입력가능하게 바뀐다.
② 제품부 추가 : 제품부 입력 그리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제품부추가”를 선택하여 클릭하면 제품부에 그리드가 추가가 되면서 입력가능하게 바뀐다.
3) 세부 순번수정
- 공통입력 그리드에서 수정할 완료 번호를 더블클릭하여 세부사항 입력 화면으로 온다.
- 화면 아래의 공정차수 현황”을 클릭을 하면 소재부, 제품부 상세 내역이 그리드 상에 보여진다.
- 소재부, 제품부의 수정 내역을 클릭 후 화면 상단의 “수정” 버튼을 누르고 수정내역을 수정하면 화면 아래의 공정 차수 현황은 사라진다.
4) 세부 순번삭제
- 삭제 항목을 클릭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소재부삭제/제품부삭제”를 선택하여 클릭을 하면 항목별로 삭제가 가능하다.
◆ SLITTING 인 경우
1) 세부사항 입력 : ① 소재부 입력, ② 제품부 입력의 공통사항은 위의 SLITTING 아닐 경우와 동일하다. ③ 연결편성을 클릭해서 연결을 해도 되며 연결편성을 하지 않았을 경우 확인 시 자동 연결된다. 소재/제품연결에 나타난 데이터를 확인한다. 중량을 UP/DOWN할 경우 연결편성화면에서 소재/제품연결의 제품에 나타난 데이터를 수정한다. 확인으로 생산완료를 종결한다.
2) SLITTING 순번수정
- 수정버튼을 클릭한다.
- 소재는 소재화면에서 수정한다.
- 수정할 데이터를 변경한다.
- 제품에 관한 변경은 연결편성 화면의 제품에서만 가능하다.
- 확인처리로 수정을 완료한다.
3) SLITTING 순번삭제
- 확인버튼을 클릭한다. 해당 완료에 대한 전체 삭제에 이용된다.
(2) 세부 특기사항
◆ SLITTING 인경우
1) 소재부
① LOSE : LOSE에 입력한 폭의 중량만큼을 원소재 투입 중량에서 제외되어 입력된다. 즉 수율 자체가 100%가 되지 않고 LOSE폭 만큼 빠진 상태에서 제품의 중량이 배분되다.
② 임가공 단가, 단가단위 : 보관구분이 임가공인 경우 나타남 임가공 청구현황에서 데이터로 사용된다. 투입되는 소재에 대한 단가와 단가 단위임
③ 외주단가, 단가단위 : 생산장소가 외주인 경우에 나타남 외주가공 정산현황에서 데이터로 사용된다. 투입되는 소재에 대한 단가와 단가 단위이다.
④ 제품의 중량 배분 : 제품의 중량은 투입되는 소재에 따라 달라진다. 소재와 제품은 1:다 또는 1:1이다. 소재 하나당 제품부에 입력한 전체의 제품이 배분된다.(연결됨과 동시에 배분됨.) LOSE분을 입력하면 LOSE분 만큼의 중량이 빠진 상태에서 배분되다. 수율 100%를 원하면 LOSE는 0이다. 연결방법은 연결편성을 클릭하면 자동 연결된다. 제품에 대한 중량을 확인한다.
2) 제품부
① 분할 : 제품에 대한 등분 처리에 사용한다.
② END : 생산되는 재품이 재고로 관리할지 재공품인지를 나타낸다.
③ 제품번호 : 생산지시가 있으면 지시의 제품번호를 가지고 온다.
※ 제품번호를 생성하는 방식은 4가지가 존재한다.
- 제품번호에 품번을 입력하는 방법 : 입력한 품번이
제품번호로 적용되는 경우
- 환경 설정에서 품번 생성방법을 [M]으로 지정하는 방법 : 소재부분의 품번으로 매칭한다. 투입되는 소재번호에서 품번을 가지고 오고 생산되는 제품의 순번을 소재번호에 더 붙인 경우.
예)소재번호 [P2F3345A]인 경우 5번째 제품은 [P2F3345A5]가 생성된다.
- 설정에서 품번 생성방법을 [A]으로 지정하는 방법 : 완료번호, 공정차수, 생산형태, 순번으로 생성된다.
예)완료번호 [02I05MA0006]의 소재번호 [P2F3345A], 5 번째 제품은 [2I05A0061SL1]이 생성된다. 즉 완료번호와 차수, 생산형태와 순번의 조합으로 제품번호가 생성된다.
- 환경설정에 품번 생성방법을 [S]로 지정하는 방법 :
소재번호와 제품번호는 동일하게 생성된다. 단 등분처리했을경우는 소재번호&1 , 소재번호&2 , …. 등으로 생성된다.
⑤ 임가공 EXT단가, EXT 단가단위 : 보관구분이 임가공인 경우 나타남 임가공 청구현황에서 데이터로 사용된다. 투입되는 제품에 대한 단가와 단가 단위이다.
⑥ 외주EXT단가, EXT 단가단위 : 생산장소가 외주인 경우에 나타 남 외주가공 정산현황에서 데이터로 사용된다. 투입되는 제품 에 대한 단가와 단가 단위이다.
⑦ 소재/제품연결 :
- 전체삭제 : 연결된 전체를 삭제 한다.
- 연결: 선택한 소재와 제품을 연결 한다.
- 삭제 : 선택한 연결의 하나의 선택을 삭제 한다.
⑧ 소재중량환산 : SLITTING 일 때 소재와 제품의 두께가 다른 경우 제품의 두께로 소재중량을 환산해서 그 환산되어진 소재중량으로 제품을 배분한다. 실제 소재 투입중량이 달라지는 건 아니므로 주의해서 사용한다.
⑨ 공통사항
- 생산완료 공통에 관한 내역을 보여줌
- 전달사항은 생산지시에서 작성한 메모 부분임.
⑩ LOSE 자동적용 : LOSE 자동적용이 선택되어 있으면 제품에 생산되는 제품의 폭의 합계와 소재로 투입되는 폭의 차이량을 자동으로 LOSE로 계산하여 제품에서 LOSE로 된 중량만큼을 제외하고 배분된다.
◆ SLITTING 이외의 경우
1) 소제부 : SLITTING 인 경우와 동일하다.
2) 제품부
① 연결편성 : 소재부와 제품부 사이에 연결편성 란에 check 하면 소재부와 제품부 연결하여 관리가 가능하다. 연결편성 하는 방법은 소재부와 제품부를 각각 입력한 후 소재부 입력 그리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소재연결’을 선택하여 소재부를 연결해주고, 제품부 연결시 제품부 입력 그리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제품연결’을 선택 하여 클릭을 해주면 된다. 연결시 주의 사항은 [ 소재부:제품부 = 1 : N = N : 1 ] 은 가능하나 [ 소재부:제품부 = N : N ]은 연결이 불가능 하므로 유의 하도록 한다. 소재부와 제품부 연결이 완료되면 [소재/제품연결] 탭에 소재부와 제품부의 연결된 내역이 표기가 되는데 내역을 확인 후 오른쪽의 ‘연결’ 버튼을 누른 후 화면 가운데 오른편의 ‘확인’버튼을 눌러 생산완료 지시를 완료 한다.
② 부산물추가 : 화면 상단의 부산물 추가에 CHECK 를 하면 제품부에 부산물 컬럼이 추가가 된다. 품목코드는 “SC 부산물”로 표기가 되며 일반 제품부와 처리 과정은 동일하다. 다만 부산물은 노란색 띄 로 일반 제품부와는 차이를 두어 입력한다.
③ 제품번호 수동입력 : 품번관리 품목코드는 제품부 입력시 제품번호를 입력하지 않을 시 생산 완료 시점에서 제품번호는 자동생성하게 되어 있다. 제품번호 수동입력에 CHECK 를 하게 되면 자동 생성이 아닌 임의로 제품번호를 입력 할 수가 있다.
④ 규격CLEAR : 규격 CLEAR 에 CHECK 를 하면 제품부에 입력이 된 규격 란이 CLEAR 된 상태로 재고에 포함이 된다.
⑤ 특기구분 CLEAR : 특기구분 CLEAR 에 CHECK를 하면 제품부 입력이 된 특기구분은 CLEAR 된 상태로 재고에 포함된다.
⑥ T/D : 제품부 입력시 그리드 내에 T/D 항목이 있다. ‘T’는 소재 투입 전량을 입력하는 것이고 ‘D’는 제품부 입력 후 나머지 잔량을 입력하는 것이다. ‘D’입력시에는 최소한 한건 이상의 제품부가 등록이 된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다. 필수 입력사항은 아니므로 꼭 입력할 필요는 없다.
⑦ 수율표기 : 소재부 제품부 입력 화면의 오른쪽 상단에 수율이 표기 된다. 수율 = (소재 /제품) x 100 으로 계산이 된다.
⑧ 소재변경 : 지시에서 지시한 소재를 투입하지 않고 다른 소재를 투입할 경우 선택한다.(지시서 수정을 하지않고도 소재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 생산지시에서 선택한 소재에는 예약량이 있음으로 다른 소재를 투입할 경우 지시에서 내려온 소재의 예약량을 CLEAR하여 소재를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방법: 변경할 소재를 클릭하고 소재변경버튼을 누르면 메시지나옴(소재변경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 그후에 투입할 소재를 입력한다.(소재HELP가능) [※ 소재변경된 지시소재는 강제종결 되므로 주의한다. 완료를 삭제해도 지시소재는 종결이 해제되지않는다.]
⑨ T/D : T(전량)은 소재전체로 제품 하나를 생산할 경우 처 리하면 자동으로 치수에 대한 중량을 환산하여 예상 완료 수량을 계산한다. (이론상의 수량, 중량) D(잔량)은 최종 마지막 제품을 생산할 경우 입력하면 소재투입 잔량을 계산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수량과 중량을 환산한다.(이론상의 수량, 중량)
⑩ 포장수량, 포장중량, 포장수 : 포장수량은 한 포장당 수량을 입력한다. 포장중량은 포장수량이 입력되어 있으면 포장 수량에 대한 중량을 나타낸다. 포장수는 전체 포장수를 입력한다. 포장수량, 포장중량, 포장수는 선택적인 사항임 필수 사항은 아니다.
⑪ 제품번호 : 제품번호를 생산하는 방식은 4가지가 존재한다. - 제품번호에 품번을 입력하는 방법 : 입력한 품번이 제품번호로 적용되는 경우
- 환경 설정에서 품번 생성방법을 [M]으로 지정하는 방법: 소재부분의 품번으로 매칭. 투입되는 소재번호에서 품번을 가지고 오고 생산되는 제품의 순번을 소재번호에 더 붙인 경우
예)소재번호 [P2F3345A]인 경우 5번째 제품은 [P2F3345A5]가 생성된다.
- 환경 설정에서 품번 생성방법을 [A]으로 지정하는 방법:
생산완료번호, 공정차수, 생산형태, 순번으로 생성됨
예)완료번호 [02I05MA0006]의 소재번호 [P2F3345A], 5번째 제품은 [2I05A0061SL1]이 생성된다. 즉 완료번호와 차수, 생산형태와 순번의 조합으로 제품번호가 생성된다.
- 환경설정엣 품번 생성방법을 [S]로 지정하는 방법 : 소재번호와 제품번호는 동일하게 생성된다. 단 등분처리했 을경우는 소재번호&1 , 소재번호&2 , …. 등으로 생성된다.
⑫ 임가공 EXT단가, EXT 단위, 외주 EXT 단가, EXT 단위 : Slitting 생산인 경우와 동일
⑬ 특기,구분 CLEAR : 생산되는 제품의 특기와 입고구분에 공백을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 한다.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소재에 따라 특기, 입고구분이 다르게 입력된다.
⑭ 포장개별 완료
- 사용자의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서 사용되는 선택사항임
- 치수와 포장 매수가 동일한 제품을 완료하는 경우 같은 행위의 반복적인 작업을 하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추가됨.
- 포장 수량이 입력되어 있는 가운데 제품을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한다.
- 포장개별처리를 선택한다.
- 완료되는 제품의 수량을 포장수량으로 나누어서 나타나는 제품 수량 만큼이 자동으로 나타난다.
3) 연결편성
① 투입되는 소재와 생산되는 제품을 연결하는 경우 사용
② 연결편성을 클릭하면 소재/제품연결 폼이 활성화됨
③ 소재/제품연결 : Slitting 생산인 경우와 동일하다. 소재중량환산은 적용되지 않는다.
④ 공통사항
- 생산완료 공통에 관한 내역을 보여줌
- 전달사항은 생산지시에서 작성한 메모 부분임(등록이나 수정을 할 수 없다.)